반응형
조의금, 부주금, 축의금, 부의금 정확한 차이와 상황별 사용법
장례식이나 결혼식 등 경조사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인 조의금, 부주금, 축의금, 부의금.
비슷해 보이지만 뜻과 사용처, 예절이 모두 다릅니다.
또한 연령대와 친밀도에 따라 적절한 금액도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구분하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의금
● 정의
조의금은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에게 위로를 전하기 위해 장례식장에서 전달하는 금전입니다.
● 사용 시기
- 장례식 참석 시 (빈소, 발인, 하관식 등)
● 표현 및 예절
- “조의금을 드립니다.”
- 봉투에는 ‘謹弔’, ‘弔意’, ‘喪中御見舞’ 등 표기
부주금
● 정의
부주금은 조의금과는 별개로, 장례식장을 지원하거나 장례 절차에 참여한 기관 또는 단체에 주는 금전입니다.
● 사용 시기
- 장례 준비를 도와준 종교단체, 장례식장 운영자 등에게 전달
● 표현 및 예절
- “부주금을 드립니다.”
- 봉투에 ‘支援金’ 등 표기
축의금
● 정의
축의금은 결혼, 승진, 개업 등 기쁜 일에 축하의 뜻으로 전달하는 금전입니다.
● 사용 시기
- 결혼식, 개업식, 승진식, 취임식 등 경사 행사
● 표현 및 예절
- “축의금을 올립니다.”
- 봉투에 ‘祝’, ‘慶’ 등의 글자 표기
부의금
● 정의
부의금은 조의금과 유사하지만, 보다 간소하고 실용적인 형태로 전달되는 조의금의 일종입니다.
● 사용 시기
- 가까운 지인의 소규모 장례식, 간소한 추모행사 등
● 표현 및 예절
- “부의금을 드립니다.”
- 봉투에는 ‘弔意’만 간단히 적는 경우가 많음
연령대 & 친밀도별 평균 금액표
연령대 | 매우 친함 | 친함 | 보통 | 안 친함 |
10대 | 5~20만원 | 5~10만원 | 3~5만원 | 30,000원 |
20대 | 10~30만원 | 10~20만원 | 5~10만원 | 3~5만원 |
30대 | 20~50만원 | 10~30만원 | 10만원 | 50,000원 |
40대 이상 | 20만원 이상 | 10만원 이상 | 10만원 이상 | 5~10만원 |
※ 단, 금액은 지역별, 개인 재정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현금 또는 모바일 송금이 가능함.
마무리
조의금, 부주금, 축의금, 부의금은 단순히 돈을 전달하는 행위가 아니라, 상대방에 대한 예의와 배려를 담는 문화입니다.
행사 성격에 따라 올바른 표현과 예절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며, 연령과 친밀도에 따른 적정 금액도 고려해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